디지털복원

최근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법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를 이용해 유물의 원형을 추정 복원함으로써 본래의 미술적, 학술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시각적 분석과 더불어 제작기법 파악에도 많은 도움을 받는다. 또 이런 자료를 유물의 보존처리 및 복원 전 사전 검토 자료로 이용한다.

디지털 복원 과정

01. 정밀 3D스캔

대상 유물의 특징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3D스캐너를 선정하고 빠진 부분이 없도록 정밀하게 촬영한다. 많은 수의 데이터가 생성되므로 각 부분별로 자료를 정리하여 형상 완성 작업 시 이용한다.

3D 스캔촬영
획득된 데이터의 정리

02. 3D형상 완성

3D로 촬영한 데이터를 병합 및 정합하여 온전한 3D이미지로 만드는데, 병합 시 중복된 구간에서 3개 이상의 동일 지점에 포인트를 찍어 형상을 완성한다.

3Point 병합
3D 형상 완성

03. 자료조사

영상 복원에 앞서 2D사진, X-ray , CT사진 등을 통해 대상유물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의 모습도 관찰하고 여러 가지 고증 자료를 조사하여 참고한다.

결실부 관찰 및 복원 형태 스케치
CT사진-중간부분 부재 간 결구 및 특징

04. 부재별 해체

대부분의 유물은 훼손되어 없어지고 변형된 상태이므로 비교적 원형의 모습을 간직하는 부분을 선정하고 각 부재별로 해체하여 각각 모델링을 진행한다.

부재별 해체
원형 투조 장식 문양 모델링

05. 변형된 형상 보정

모델링된 부재들을 기초로 변형된 형상을 수정한다.

보정된 몸체와 기존 부재의 위치 차이
들뜬 띠장식 보정 - 몸체와 밀착

06. 완성

스캔 데이터와 복원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고 수정 사항을 확인한 뒤 최종 검토를 한다.

원본 데이터와 비교
최종완성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