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발굴조사
유적명 | 경주 구황동 황룡사 연구센터 건립 예정부지 유적 | ||
---|---|---|---|
시대 | 통일신라 | 조사기간 | 2009~2010 |
소재지(구주소) | 경주시 구황동 786-1번지 | 지정사항 | |
저작권자 |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 이용범위 |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
보고서명 | 경주 황룡사연구센터 건립예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
황룡사 연구센터 건립 예정부지는 황룡사지 서쪽 7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사결과 통일신라시대의 석축 연못 1기가 확인된 유적이다. 석축연못은 3면의 호안이 평면 'n'형으로 노출되었으며, 남쪽은 조사범위를 벗어나고 있다. 지금까지 남북길이 약 34m, 동서너비 약 22m에 달하는 장방형으로 확인되었으며, 면적은 748㎡ 이상으로 산출된다. 연못의 전체적인 방향은 황룡사지 남북중심선과 비슷한 방향으로 놓여 있다. 연못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된 호안석축은 잡석이 섞인 사질점토를 사용하여 지반을 다진 후 그 위에 할석과 잡석을 혼용하여 허튼층쌓기 방법으로 축조하였다. 현재 1~3단의 석축이 최고높이 60㎝로 잔존하고 있으며, 석축 앞쪽에는 다수의 석축석이 산포되어 있다. 연못 내부 바닥에는 밤자갈을 조밀하게 부설하였으며, 그 상층에는 흑갈색 니토 등의 퇴적층이 30~50㎝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석축 연못 하층에는 나뭇가지와 수초가 다수 혼입된 흑색 니토 등의 선행 퇴적층이 약 2m 안팎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포된 유물이 전혀 없고 두껍게 형성된 퇴적층의 양상으로 보아 황룡사를 건립하기 위하여 매립하였던 대형 늪지의 서단부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유물은 와편, 토기편 등 70여 점을 수습하였으며, 대부분 통일신라시대로 편년된다. 연못 퇴적층에서 수습한 18점의 목재에 대한 수종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 오리나무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