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추진업무
한양도성 학술조사연구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조선시대 4대궁을 중심으로 한 한양도성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하여 「한양도성 학술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경복궁은 태조 4년(1395) 창건한 이래 조선시대 정궁(正宮)의 지위를 확립하였으며, 임진왜란 당시 소실되었으나 19세기 후반 고종 연간에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대부분의 전각이 훼철되어, 현재는 국가유산청에 의해 ‘경복궁 복원 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정비사업을 고증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1990년 이래 순차적인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004~2005년에는 경복궁 소주방지와 흥복전지, 함화당‧집경당 행각지가 발굴조사 되었으며, 2006~2010년에는 광화문지 및 궁장지 등 광화문 권역이 조사되었다. 2011년부터 조선 후기 편전으로 기능했던 흥복전지와 그 주변지역을 조사하였으며, 업무가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구 강화소)로 이관된 2017년 이후부터는 향원정, 동궁권역, 자미당‧영훈당 동행각지, 광화문 월대 일대를 조사하고 있다.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조선 법궁 경복궁의 역사적 실체를 구명하고 4대궁을 중심으로 한 한양도성의 면모를 밝히는데 힘쓸 예정이다.
고려시대 수도권 문화유적 학술조사연구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고려시대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꽃피운 중세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고려시대 수도권 문화유적 학술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은 고려시대부터 ‘경기(京畿)’로 편제되어 수도를 보위하는 중심권역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고려 강도시기의 강화도성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행궁과 사찰, 관방유적 등 다양한 유적이 산재해 있다.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대몽항쟁기 강화도성의 실체를 파악하고, ‘경기’의 지역별 문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화도성 및 경기지역의 주요 유적 현황조사와 학술발굴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종합적인 중세시대 학술연구자료 아카이브 구축을 진행하여 고도화된 연구정보를 학계와 지역사회와 공유하며, 중세문화 연구 활성화와 지역 문화유산의 미래가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풍납토성 학술조사연구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백제 한성기 왕도 풍납토성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해 「풍납토성 학술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풍납토성은 1997년부터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 의해 조사되기 시작하여 경당지구, 미래마을지구, 동성벽, 해자, 서성벽 등 현재까지 22개소에서 시·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대외교류, 주거 및 생업 형태, 성벽축조기술, 제의, 도시구조, 도성의 범위 등 조사 결과가 다양한 연구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이밖에도 1998년부터 풍납토성 내·외부 참관·시굴조사로 600개 지점 이상에서 문화층을 확인하여 발굴조사 기초자료 및 보존정비의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에서는 차후 서성벽 및 동성벽 유실구간을 복원하고, 왕궁 등 핵심시설을 조사함으로써 풍납토성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규명하고, 풍납토성의 정체성 확립과 보존정책 수립에 힘쓸 예정이다.
수도권 문화유산 보존관리 정책지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수도권 문화유적의 체계적 보존관리를 위한 정책적 역할을 추진하고 있다. 매장유산의 가치를 평가하고 안정적 보존관리 체계로의 편입을 위하여 국가귀속유산의 보관관리, 출토유물 보존처리, 발견매장유산 감정평가, 보존조치유적 모니터링 및 발굴조사 전문가검토회의, 권역 내 조사현장의 안전조치를 위한 발굴조사현장 모니터링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역사문화권 지원법 시행에 따라 이를 지원하기 위한 현황조사 등의 업무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