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융복합연구

보존과학연구 문화유산융복합연구 대표 이미지

귀중한 문화재의 원형을 영구 보존하기 위하여 현대의 과학지식과 기술을 응용하여 문화재 손상원인 연구 및 유물의 제작기술과 그 기법 규명 등을 수행하는 곳이다. 이와 관련하여 석조문화재 보존 및 평가기술 연구, 문화재 보존환경 조사 연구, 고대 유전자원 계통학적 연구, 토기 소성특성 및 안료 비파괴 분석 특성연구, 유기질문화재 보존⁄보관 기술 연구 등 문화유산 융복합연구(R&D)를 수행하고 있다.


석조 문화재 이미지 석조 문화재
환경조사 이미지 환경조사
실험 이미지 실험
인골조사 이미지 인골조사

석조문화재 보존 및 평가기술 연구(R&D)

석조문화재 초음파 물성측정 이미지

최근까지 공학 및 자연과학 분야에서 석조문화재의 물성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구성재질의 지질 및 암석학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축된 비파괴 평가기법이 거의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또한 초음파 탐사방법, 에코팁 표면경도, 수분계 등의 표면물성 측정방법은 주로 콘크리트, 토양 등의 분야에 널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이 불균질한 다양한 종류의 암석으로 이루어진 석조문화재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석조문화재의 실정에 맞는 적합한 탐사 및 측정 방법의 구축과 이를 통한 표면 풍화도 평가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비파괴 진단방법의 검증 및 실험 데이터를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되어야 하며,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국내 및 해외 석조문화재의 물성을 비파괴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완성하고자 한다.

풍화훼손지도 관련 표준 매뉴얼구축 연구

목적 : 석조문화재의 훼손상태를 통일화된 방법으로 기록하여 평가하기 위한 표준 매뉴얼 구축
내용 : 1) 풍화훼손형태 등 1차 표기법 통일화 제시
         2) 현장적용성 연구 및 활용방안 모색

처리전 상태 이미지 처리전 상태
Auto CAD 작성 이미지 Auto CAD 작성
풍화훼손지도 완성 이미지 풍화훼손지도 완성

충전제, 표면강화제, 접착제의 성능 평가법 설정

목적 : 석조문화재 보존처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합한 보존처리제 선정과 표준화된 물리화학적 시험방법 도출
내용 : 1) 암석 분석 및 풍화도 판별
         2)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의 품질시험법 조사 및 물리적 특성 시험법 연구
         3) 다양한 비파괴 방법을 활용한 강화제 표면 강도 변화 규명
         4) 풍화된 암반을 대상으로 한 에폭시 수지의 접착력 테스트
         5) 암종별, 처리제별, 풍화상태별 처리방법 도출
         6) 인공풍화(동결 · 융해, 산성우 분무실험) 및 옥외 노출로 성능 평가 실험

강화용 보존처리제 실험 이미지 강화용 보존처리제 실험
충전제의 물성측정 이미지 충전제의 물성측정
초음파속도 측정 이미지 초음파속도 측정
옥외폭로실험 이미지 옥외폭로실험

현장적용기술 개발 연구

목적 : 장기간 모니터링을 통한 보존처리의 문제점 도출 및 안정성 확보
내용 : 1) 대상 암반의 처리 전 · 후 역학적 및 물리적 특성 시험
         2) 처리 후 코어링을 통한 직접 샘플링 및 분석
         3) 특성평가방법 분석

현장적용Ⅰ 이미지 현장적용Ⅰ
현장 암반의 초음파속도 측정 이미지 현장 암반의 초음파속도 측정
현장적용Ⅱ 이미지 현장적용Ⅱ
현장적용Ⅲ 이미지 현장적용Ⅲ

연구 실적

연구논문
  • 보존과학연구「국내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현황과 통계분석」, 2006
  • 보존과학연구집「경주남산마애불암석의 물리적 특성연구」, 2007
  • 광물학회지「경주남산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보존처리제의 처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 2007
  • 문화재과학기술「독일 문화유산의 연구동향과 발전과제」, 2007
  • 문화재과학기술「석조문화재의 풍화훼손지도 표준화 연구」, 2008
  • 한국광물학회지「경주 남산 화강암을 대상으로 에틸실리케이트를 이용한 강화 처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 2008
  • 보존과학연구「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의 현황조사 - 접착 · 충전제와 발수 · 강화제를 중심으로-」
  • 보존과학연구「인공풍화 실험을 이용한 보존처리제의 물성 변화 연구」, 2008
  • 보존과학연구「태안마애삼존불의 보존과학적 훼손도 진단과 보존환경 분석」, 2008
  • 문화재보존과학학회지, 송치영, 전병규, 한민수, 이장존, 김사덕,「석조문화재 적용을 위한 강화제 및 충전제 현장실험: 초음파 속도를 이용한 일차검증」, 2009, 25(1), pp 87~100.
  • 문화재보존과학학회지, 김사덕, 이명성, 한병일, 이장존, 송치영,「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의 훼손도 진단과 보존처리」, 2009, 25(3), pp 323~333.
  • 문화재보존과학회지, 송치영, 한민수, 이장존, 전병규, 도민환,「석조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혼합충전제의 특성분석」, 2009
  • 문화재 보존과학 국제심포지엄 발표논문집, 이장존, 한민수, 전병규, 송치영,「Quantitative evaluation for effectiveness of consolidation treatment by using the Ethyl Silicate」
  • 보존과학연구집, 이장존, 한민수, 송치영, 전병규, 도민환,「영양 사암을 대상으로 한 에틸실리케이트 계열 처리제의 강화효과 평가」,2009, pp 126~136.
  • 보존과학연구집, 김재환, 한민수, 이장존, 송치영, 이재만, 김민지, 이명성「암석 재질에 따른 보존처리제의 현장 적용성 평가」,2009, pp 80~91.

학술발표
  • 석조문화재의 정량적 풍화훼손도 진단법 워크샵「석조문화재의 풍화훼손진단법과 보존처리제 평가를 위한 고찰」, 2007
  • 춘계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포스터「국내 국가지정 석조문화재 현황」, 2007
  • 추계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포스터「마애불의 풍화훼손지도 작성법 연구」, 2007
  •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 포스터「경주 남산석과 에칠실리케이트 계열 처리제의 결합특성 연구」, 2007
  • 동아시아 문화유산보존 국제심포지움 포스터「경주 남산 마애불의 암석학적 특징 및 훼손도 평가」, 2007
  •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ervation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Oral'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weathering damage map and conservation materials for stone cultural heritage」, 2007
  • 춘계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의 정량화 연구」, 2008
  • 춘계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경주 남산화강암을 대상으로 한 보존처리제(표면강화제)의 정량적 평가」, 2008
  • 추계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태안마애삼존불의 풍화훼손도와 보호각 내부 환경분석」, 2008
  • 문화재 보존과학 국제심포지엄「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의 성능평가 및 현장 적용연구」, 2008
  • 2008년 한일 공동 연구회 「운주사 석조문화재의 보존방안 조사 연구」, 2008
  • 석조문화재 보존 국제 심포지움 발표「Th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field application for conservation materials in the stone cultural heritages」,2008
  • 춘계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이장존, 한민수, 전병규, 송치영 「석조문화재 에폭시 계열 충전제의 열 안정성 연구」, 2009
  • 춘계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송치영, 전병규, 한민수, 이장존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제의 적용성 연구 초음파 측정법을 중심으로 -」,2009
  • 추계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이명성, 김재환, 김민지, 이재만, 송치영, 이장존 「경북 영양군 일대의 석조문화재 구성암석과 풍화 특성을 고려한 보존처리제의 현장 적용성 연구」,2009.
  • 추계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김재환, 김민지, 이명성, 이장존, 송치영, 이재만, 한민수 「응회암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재의 보존 방안 연구」,2009.
  • 추계대한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 이명성, 김재환, 김민지, 송치영, 이재만, 이장존, 한민수 「경북 영양군 일대에 분포하는 석조문화재의 재질특성과 풍화상태를 고려한 보존처리시스템 개발 연구」,2009.

연구성과
연구성과 목록
「석조문화재 표면오염물과 제거방법」 PDF 파일 내려받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석조문화재 구성암석과 결실부 복원방안」 PDF 파일 내려받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석조문화재 풍화훼손지도 작성법」지침서 PDF 파일 내려받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열충격 시험에 의한 암석의 물성변화 PDF 파일 내려받기 보존과학연구 31집 , 2010
암석 재질에 따른 보존처리제의 현장 적용성 평가 PDF 파일 내려받기 보존과학연구 30집, 2009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영일 냉수리신라비의 재질특성과 산지해석 및 훼손도 진단 PDF 파일 내려받기 문화재 제43권 제3호, 2010
인공 다공질체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강화제의 처리효과 보존과학회지 26권(3호), 2010
응회암질 석조문화재에 대한 강화제 현장적용 효과 문화재과학기술, 2010
영양 사암을 대상으로 한 에틸실리케이트 계열 처리제의 강화효과 평가 PDF 파일 내려받기 보존과학연구 30집, 2009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혼합충전제의 특성분석 보존과학회지 25권(4호), 2009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의 훼손도 진단과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25권(3호), 2009
석조문화재 적용을 위한 강화제 및 충전제 현장실험 : 초음파 속도를 이용한 일차검증 보존과학회지 25권(1호), 2009
Quantitative evaluation for effectiveness of consolidation treatment by using the Ethyl Silicate 동아시아 문화유산보존 국제심포지엄 논문집, 2009

메뉴담당자담당부서 : 보존과학연구실 담당자 : 유영미 연락처 : 042-860-9068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