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토유물 보존처리

출토유물 보존처리

1973년 이후 천마총(天馬塚), 황남대총(皇南大塚), 안압지(雁鴨池), 황룡사지(皇龍寺址) 등 경주지역 대규모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의 보존처리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1982년 경주고적발굴조사단(慶州古蹟發掘調査團) 보존처리실(保存處理室)이 설치되어 각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에 대한 긴급처리가 이루어졌다.

이후 1990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가 개소됨에 따라 출토유물 보존처리뿐만 아니라 유물의 재질분석(材質分析), 미세조직검사(微細組織檢査), 연대측정(年代測定) 및 중요석조문화재(石造文化財)의 현상조사(現象調査) 등으로 그 활동영역을 확대하였다. 특히 출토유물보관동으로 이전과 더불어 유물에 대한 과학적 조사 연구의 수준을 높이고자 형광X선분석기(XRF), 주사형전자현미경(SEM-EDX) 등 첨단장비를 도입하여, 고대유물의 제조기술사 규명, 고고미술자료의 역사성을 밝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물의 과학적 보존처리

금속유물

  • 1. 유물수습 및 상태조사
    발굴조사 현장에서 출토유물의 현상 유지를 위하여 Poly Urethan Form 수지를 발포하여 유물을 안전하고 손상없이 처리실로 이동하고 출토유 물의 처리 전 상태에 대한 사진촬영, 실측 등 기록Card 작성.
  • 2. 과학적 조사
    X-선 촬영 및 현미경조사를 통하여 유물 재질의 강약, 제작기법(문양, 가공형식, 재질·미세조직분석을 통하여 속성파악 등), 부식의 정도, 유물표면의 유기 질과 부식 생성물 등을 확인.
  • 3. 기계적(물리화학적) 부식물 처리
    정밀분사가공기(Glass Powder(No9) 및 N₂ Gas의 압력 이용), 초음파 진동드릴, 초음파세척기, 의료용 소도구를 이용한 물리적·기계적인 방법과 및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부식 이물질 제거하는 화학적인 방법 등으로 처리.
  • 4. 탈염 및 안정화처리
    화학적처리(Na₂CO₃, NaOH, LiOH 등)를 이용한 부식 인자 추출처리와 불포화 부식 억제제(BTA, DAN 등)를 강제로 침투시켜 유물의 재부식을 차단하는 안정화 처리 등.
  • 5. 경화처리 및 접합·복원
    합성수지(Acryl type, Epoxy type 등)에 의한 진공감압함 침 경화처리와 파손 및 결손부를 순간접착제, Cemedine-C, 에폭시 접착제인 Araldite rapid type등을 이용한 접합·복원, 천연안료를 사용한 색맞춤 처리 등.

금동유물 처리상태

황룡사지 출토 금동판불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황룡사지 출토 금동판불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천관사지 출토 금동불상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청동유물 처리상태

황룡사지 출토 청동불두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황룡사지 출토 청동장식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분황사 출토 동경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철제유물 처리상태

경주 월산리유적 출토 단야구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국가민속문화재 정공청 투구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목제유물

목제유물은 출토와 동시에 수분이 증발, 급속한 수축 및 뒤틀림 등의 형태변화를 유발함으로 출토 즉시 수침목재의 치수안정화 처리와 수종분석을 실시, 유물의 영구보존을 도모하고 자료를 수집한다.

처리사례보기

목제유물 보존처리
  • 1. 유물발굴
  • 2. 보존처리전 유물카드작성 (사진촬영)
  • 3. 과학적조사 (수종분석·X선 비파괴조사)
  • 4. 세척 (방부, 붕산, 붕사·EDTA)
  • 5. 치수안정화 (PEG,고급알콜처리)
  • 6. 표면처리 (강휘발성용제로 제거)
  • 7. 접합·복원
  • 8. 고색처리
  • 9. 복원고색처리보존처리후 유물카드작성 (사진촬영 등)
  • 10. 적정항온·항습보관활용

경주 서부동 출토 두레박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국가민속문화재 정공청 화살대
처리전 처리전
처리후 처리후

도·토기유물

발굴현장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유물인 도·토기는 외부의 충격이 없는 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기본적인 보존처리 재료만으로 복원이 가능하다는 특성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홀한 편이다.
도·토기는 매장 후 무너진 토압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발굴 후 취급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한 손상도 많이 일어난다. 또한 보존처리시 처리방법이나 재료선택의 잘못으로 인해 파손되며 세척시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처리사례보기

傳 인용사지 출토 치미 보존처리과정

傳 인용사지 출토 치미는 모두 20편으로 가접합 결과 등부분을 중심으로 身部 왼쪽 하부 약 1/2정도와 꼬리 상부, 배면 연결부가 부분적으로 결실상태를 파악 후 치미복원의 방안을 수립 → 세척 → 가접합 → 접합보강 → 복원 → 색맞춤 순으로 보존처리 진행

출토상태 출토상태
가접합 가접합
스텐인레스 스틸 (Stainless steel)棒 보강 스텐인레스 스틸 (Stainless steel)棒 보강
Araldite(Rapid type)접합 Araldite(Rapid type)접합
CDK-520복원 CDK-520복원
표면정리 표면정리
처리후 좌면 처리후 좌면
처리후 정면 처리후 정면
처리후 우면 처리후 우면

석조문화재

화강암이 주를 이루고 있는 석조문화재에는 탑, 불상, 비석, 부도, 당간지주를 비롯하여 수조, 다리 등이 있다.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야외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오랜 세월동안 비, 바람 등 자연적인 풍화와 최근에는 환경오염의 영향으로 풍화가 가속화 되고 있어 보존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석재는 타 재질에 비하여 손상 변화가 느리기 때문에 보존관리에 관심을 늦게 가졌으나 최근에 들어 석조 문화재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조사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처리사례보기

경주 서악리 삼층석탑 보존처리과정

보물인 경주 서악리 삼층석탑에 대한 풍화훼손 상태조사 및 보존처리를 대략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시행하였다.

보존처리과정
  • 1. 주변정비
    • 배수로를 설치 - 빗물을 최소화, 주변의 수목 및 잔디 제거 - 지의류 발생을 억제
  • 2. 세척
    • 1차 건식 세척을 실시 - 부드러운 솔과 나무칼을 사용
    • 2차로 습식세척을 실시 - 고온스팀을 이용한 세척기를 이용
    • 합성수지(L-30)를 사용하여 접합 및 보강, 충전제(탈크와 알카리 화강암 파우더를 혼합하여 사용)
    • 이미 보수되었던 콘크리트와 에폭시 수지제거
    • 색맞춤 - 합성수지와 충전제의 혼합과정에 색 맞춤을 하여 사용
처리전 처리전
수목제거 수목제거
비계설치 비계설치
건식세척1 건식세척1
건식세척2 건식세척2
습식세척1 습식세척1
습식세척2 습식세척2
스팀세척 스팀세척
처리후 처리후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